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

난이도와 난도의 차이점 및 올바른 사용법

by 나노피코 2023. 2. 2.
반응형

난이도와 난도의 차이점 및 올바른 사용법

난이도-난도

난이도와 난도라는 단어는 비슷하지만 사용은 달리해야 하는 서로 다른 단어입니다. 블로그 포스팅을 위해 글을 쓰고 맞춤법 검사를 하면 '난이도'를 '난도'로 교정해 주는 일이 빈번합니다. 처음에는 크게 의미를 두지 않고 수정하였는데, 어느 날 갑자기 두 단어의 차이점이 궁금하여 검색해 보니 구체적 의미와 사용법이 모두 다른 단어인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난이도와 난도의 차이점과 적절한 사용 방법에 대해 다루어 보겠습니다.

 

단어 의미
난이도(難易度) 어려움과 쉬움의 정도
난도(難度) 어려움의 정도

난이도(難易度)의 의미는 '어려움과 쉬움의 정도'입니다. 한자로도 어려울 난(難)과 쉬울 이(易)를 사용합니다. 반면에 난도(難度)는 '어려움의 정도'만을 나타냅니다. 어려움과 쉬움의 정도를 통틀어서 표현하는 난이도와 엄연히 다른 의미이죠. 따라서 두 단어의 용법상 차이가 납니다.

일반적으로 '난이도가 높다, 난이도가 낮다' 혹은 '고난이도이다'라는 표현을 많이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잘못된 표현입니다. 올바른 표현은 '난도가 높다' 혹은 '난도가 낮다’라고 하거나 ‘고난도이다’입니다. 

이렇게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난도'는 어려움의 정도만 가리키기 때문에 그 수준이 높거나 낮음을 표현할 수 있지만, 어려움과 쉬움을 모두 가리키는 '난이도'는 수준의 높낮이를 나타낼 수 없기 때문입니다. ‘난이도’는 조정 및 조절의 대상이기 때문에 ‘높다/낮다’라는 형용사와 함께 쓰일 수 없는 것입니다. 아래 예문을 보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이번 시험의 난이도 조절에 성공하였다.
  • 난이도를 따질 때가 아니었다.
  • 야마토새우의 사육 난도는 낮은 편이다.
  • 암벽등반은 난도가 높은 운동이다.

 

비슷한 듯 하지만 구체적 의미와 사용법이 다른 난이도와 난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두 단어의 사전적 의미를 기억하여 올바르게 잘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이상으로 난이도와 난도의 차이점과 이들의 적절한 사용 방법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