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

싱크대 배수구에 알루미늄 포일을 넣으면 세균이 죽는 이유

by 나노피코 2023. 2. 11.
반응형

싱크대 배수구에 알루미늄 포일을 넣으면 세균이 죽는 이유

알루미늄-포일

알루미늄 포일은 주방에서 많이 사용하는 소모품 중의 하나입니다. 요리할 때, 음식을 덮어놓을 때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대부분의 가정집 주방에 하나씩 가지고 있는 알루미늄 포일을 사용하여 싱크대 배수구를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는 살림 꿀팁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관리 방법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포일로 어떻게 세균을 잡을 수 있는지 그 원리에 대해서도 자세히 다루었습니다.

 

싱크대 배수구에 알루미늄 포일을 넣으면?

싱크대 배수구는 물이 닿는 곳이기 때문에 항상 젖어있습니다. 게다가 음식물 찌꺼기에 계속 노출되기 때문에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조건이기도 합니다. 방치하면 세균 번식에 더불어 악취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청소를 자주 하는 게 가장 중요하지만 관리 차원에서 배수구에 알루미늄 포일을 넣어주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알루미늄 포일을 메추리알 크기로 돌돌 말아서 3 ~ 4개 정도를 배수구에 넣으면 끝입니다. 배수구 크기가 작다면 2 ~ 3개도 좋습니다. 이 상태로 싱크대를 평소처럼 사용하면 됩니다. 물을 사용하면 배수구에 담긴 동그란 알루미늄 포일이 회전하면서 배수구 통을 세척해 주고 결과적으로 악취도 줄여줍니다. 이는 알루미늄이 세균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알루미늄 포일의 항균 원리

알루미늄은 물에 젖으면 이온을 방출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 금속 이온이 항균과 소독작용을 하여 배수구 주변의 끈적한 물질과 점액을 제거하는 것입니다.1) 방출된 금속이온은 세포막을 통해 흡수된 다음 효소나 기타 세포의 구성요소와 반응하여 세포 기능에 장애를 일으키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또한, 방출된 금속이온은 DNA 분자에 결합하여 핵산 가닥 가교 결합에 영향을 주어서 나선형 구조의 해체를 유발하고 박테리아 성장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2,3)

알루미늄 포일은 항균 특성이 있는 금속 물질입니다. (상대적으로 구리, 은, 금, 티타늄, 징크에 비해 그 능력은 낮습니다.) 영양배지와 알루미늄 포일 표면에서 각각 대장균과 황색포도상구균을 배양하였을 때, 알루미늄 포일에서 그 수가 현저하게 줄어든 것을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습니다. 특히, 알루미늄 포일을 70℃에 10분간 담가놓은 다음 꺼내어 말린 뒤, 그 위에 각각의 세균을 배양하였을 때 일반 알루미늄 포일에서 보다 더 적은 양의 세균이 관찰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러한 양상은 알루미늄 포일 양면에서 동일하게 관찰되었습니다.4) 즉, 광택과 무광택에 따라 세균을 죽이는 성능이 다르지 않은 것입니다.

 

알루미늄 포일의 광택면과 무광택면

알루미늄 포일은 양면으로 되어있습니다. 한쪽은 반짝이는 광택면이고 반대쪽은 무광택면입니다. 이러한 이유는 포일 제조과정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포일 두 장을 롤러로 누르는 과정에서 포일끼리 맞닿은 부분은 무광택면이 되고 롤러가 닿는 부분은 광택면이 됩니다.

알루미늄 포일로 음식물을 보관할 때는 광택면이 음식에 닿도록 하는 것이 좋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무광인 부분에 음식이 닿으면 음식물 성분이 알루미늄 포일의 미세구멍으로 흡수되어 조리 시 알루미늄 포일이 검게 변할 수 있다고 합니다. 실제 음식에 미치는 영향은 없지만 되도록이면 광택면이 음식에 닿도록 하는 것이 좋겠죠.

 

배수구 세척제를 구매하여 빈번하게 닦아주는 것보다 돌돌 말은 알루미늄 포일을 넣고 사용하며 드문드문 세척하는 것이 비용이나 시간 절약 측면에서 이득이라고 합니다. 알루미늄 포일에 더러운 이물질이 끼면 교체해 주고, 교체 시 배수구를 간단하게 솔질하여 청소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참고문헌

1) Tokyo families magazine, Japanese lifehack: Aluminum foil keeps slime away from your kitchen drain
2) ACS Nano (2012) 6, 6, 5164–5173
3) J. Phys. Chem. C (2009) 113, 36, 15997–16001
4) Nanotechnology (2021) 32, 325103

 

반응형

댓글